쌍문역 골목축제
문화도시를 함께 만들기 위한 청년창업가 네트워크의 시작
청년창업가와 소상공인, 그리고 지역주민이 골목이라는 장소에서 한 데 모여 새로운 문화를 기획하고 공유하는 축제입니다.
기획의도 | 지역 청년의 문화 창조 및 청년사업가의 신규유입 통로 마련, 지역상권 활성화 |
---|---|
사업기간 | 2019년 9월 ~ 2019년 10월 |
대상 | 도봉구 주민 누구나(생활권자 포함) |
참여방법 | 청년문화기획단 씀씀이 활동, 행사 현장 방문, 프로그램 참여 |
주관단체 | 문화도시 도봉 준비위원회 / 도봉구청 |
운영형태 | 행사 |
진행과정 | - |
갤러리
More View쌍문동의 특별한 하루 “쌍문역 골목 축제”
Q. 축제 참여계기와 활동과정
제가 문화기획자라는 꿈을 갖게끔 영향을 주신 분이 계시거든요, 그분이 축제 기획단을 해보면 어떻겠냐고 제안을 해주셔서 들어가게 되었어요.
한 달 동안 축제 아이디어도 내보고, 축제 때는 진행요원도 하고, 업체 선정이라든지 기획단 프로그램을 기획했었어요. 컨셉 자체가 쌍리단길이라는 골목상권에서 청년기획단들의 아이디어로 문화를 입혀서 소통하는 컨셉이었어요. 그때 당시, 뉴트로가 유행하고 있어서 저희도 그 감성을 살린 프로그램을 기획했었고요. 저희는 축제 메인 길 사이사이에 있는 작은 골목길들을 맡아서 꾸몄어요. 구제시장 가면 빈티지 옷들 막 입어볼 수 있잖아요, 재래시장가서 옛날 옷들을 사다가 그렇게 입어볼 수 있도록 꾸민 레트로 존을 진행했어요. 옛날 골목에서 했던 땅따먹기 같은 골목 놀이를 할 수 있는 공간도 만들고, 잔디 카펫을 깔아 소풍을 즐길 수 있는 피크닉존, 골목 구석구석을 살펴볼 수 있는 스탬프 투어 같은 것들을 기획했었어요.
Q. 좋았던 점
축제기획을 경험했다는 것 자체가 너무 좋았어요. 작은 프로그램이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기획해봤다는 점과 다른 또래 기획단 친구들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뜻깊었어요.. 각자의 생각에만 갇혀있지 않고 서로 보완해줘서 더 의미 있었고요.
축제 피드백 중 기억에 남는 게 오시는 분마다 이런 데가 있는 줄 몰랐다고 말씀하시더라고요. 주민분들은 예쁘네, 잘 꾸몄다고 많이 말씀해주셨고요. 무엇보다 축제를 진행하는 사람들이 즐거워 보인다고 해주신 말들이 기억에 남아요. 나중에 제가 축제기획을 하게 되면 이 경험들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Q. 아쉬웠던 점 및 보완점
활동 기간이 한 달 정도였는데, 실질적으로 기획을 했던 기간은 2주였어요. 기간이 짧았죠. 그래서 축제 진행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공유가 빨리 되질 않아서 답답하고 불편한 점들이 있었어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참여하던 다른 프로젝트와 겹쳐서 활발하게 활동하지 못한 게 아쉬움이 남아요.
보완점이라고 한다면, 그것보다 제가 쌍문골목축제에서 하고 싶은 것을 얘기하고 싶어요. 쌍리단길의 매력을 더 알리고 싶어요. 쌍리단길 말고, 이 골목에 더 좋은 이름도 찾아보고 싶고요. 단순히 응팔이나 둘리 말고 ‘쌍문’하면 떠오를 수 있는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알리는 기획을 하고 싶어요.
Q. 축제 이후의 쌍리단길
축제를 참여하기 전에는 근처 동네에 살고 있었는데도, 전혀 모르고 있었어요. 쌍리단길을 알고 나서, 제일 처음 든 생각은 요새 유행하는 ‘0리단길’을 따라 한 느낌? 도 있었고요. 그냥 골목이구나 하고 생각했는데, 축제 기간이 다가오면서 골목에 문화를 입히니까 확실히 골목이 달라 보이는 것을 경험했어요. 맛있는 음식점들이 많아서 축제 이후에도 종종 찾아가요. 진심으로 음식들이 맛있어요. 음식 종류가 특이한 건 아닌 데 정말 맛있어요.
Q. 문화 기획이란
저는 모든 사람이 편안하고 즐겁게 문화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그러한 일들을 기획하는 것이 문화기획이라고 생각합니다.
Q. 앞으로의 계획
지금은 서울문화재단에서 뉴딜일자리 참여자로 문화기획을 경험하고 있어요. 그리고 도봉구청에서 진행하는 여러 가지 기획사업에 참여하고 있어요. 저의 성장을 도와주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싶어요. 이번에 참여했던 축제 기획단 같은 활동들도 많이 참여하고 싶고요. 오늘 인터뷰하면서 느낀 거지만, 말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도 키우고 싶어요. 그래서 저 같은 청년들이 평소에 생각하는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장을 기획하고 싶어요.